게임 공략/산소미포함
<산소미포함 오리지널 공략> 1. 미리 알고 플레이하면 좋은 팁들
쎄참이
2025. 3. 10. 11:11
안녕하세요~!
이번엔 산소미포함 오리지널 버전 공략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.
먼저, 이 게임은 어렵다는 평이 많아 몇몇 분들은 구매 후 클리어를 포기하는 것으로 압니다.
저 역시 최초 구매한 지는 꽤 오래되었으나 중간중간 삭제, 설치를 반복 한 끝에 플레이 타임 230시간을 넘기고서야 엔딩을 볼 수 있었는데요.
산소미포함 오리지널과 관련된 공략은 유튜브나 해당 커뮤니티에 꽤 있는 걸로 압니다.
그러나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그런 공략을 본다 해도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수두룩할 것입니다.
특히나 딱 봐도 복잡해보이는 자동화관련된 시설물들 건설이라던가...
그래서!
저는 "복잡한 자동화시설물들은 거의 이용하지 않고 빠른 시간 안에 엔딩까지 도달" 할 수 있는 공략을 쓰고자 합니다.
칼을 뽑았으면 무라도썰고 게임을 샀으면 클리어 한 번은 해보는 게 인지상정 아니겠습니까? ㅎㅎ
물론 제가 쓴 공략을보고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일단 큰 틀을 잡는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.
이번 공략에도 질문이나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각 잡고 플레이하기 앞서 "알고 시작하면 좋은 팁들"이 몇 가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.
- 난이도 생존(보통난이도) 기준 듀플은 하루에 1000칼로리를 소모합니다.
난이도 식은 죽 먹기(쉬움)은 500칼로리입니다.
따라서 생존난이도에서 초반식량인 끼니이가(개당 200칼로리)는 듀플의 5 배수만큼 기르면 됩니다.
끼니이 제외 다른 식량들도 각각의 칼로리를 생장주기로 나누면 하루에 어느 정도 칼로리를 수급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으니 듀플 수에 맞게 적당히 재배하면 됩니다. - 각종 농장을 크게 짓는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닙니다.
수확하고 거름 주고 하는데 노동력을 많이 빼앗길 수 있으니 필요한 만큼만 적당히 짓는 게 좋습니다. - 듀플들이 레벨업했을 때 스킬은 찍었을 때 빨간색이 되는 경우 찍지 않고 초록색일 때 찍어줍시다.
- 여러 기체 관련 시설들을 지었을 때 기체 배관의 투입구는 병렬로 연결해야 합니다.
액체 시설들은 직렬로 해도 상관없습니다. - "차가운 증기 분출간헐천" 하나당 전해조 3~4개 돌릴 수 있습니다.
(전해조는 초당 1kg의 물을 소모합니다.) - 전해조 한대가 초당 산소 800g/s 이상을 만들어 냅니다.
듀플 1명당 초당산소 100g/s 소비하므로 전해조 한대는 8명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. - 식량 계산, 로켓연료계산 할 때 유용한 사이트(한글 자동 번역 이용할 것) : https://zari.rtk0.net/ProfessorOakshell
- 단열타일은 어지간하면 화성암을 이용합시다.
- 온도가 높은 곳에 기계를 건설할 때 금아말감을 소재로 사용하면 온도가 극단적으로 높지 않은 이상 문제없습니다.
- 각종 간헐천 개발을 위해 간헐천 주위를 진공, 밀봉할 때는 바닥청소를 꼭 해주고 밀봉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.
간헐천 개발이 아니더라도 진공, 밀봉이 필요한 경우면 어지간하면 바당청소를 해줍시다. - 각종 시설물들은 굴착한 곳의 재료를 이용하면 좋습니다.
예를 들면 퇴적암지형을 굴착한 곳의 시설물은 퇴적암을 소재로 만들기 등. - 제 공략에서 로켓조종사는 잡일꾼 두 명이면 충분하니 나머지 듀플들은 스킬을 로켓조종사까지 찍지 않고 다른 스킬에 투자하셔도 됩니다.
- 과학자, 요리사, 의사, 장식가는 가급적 탈출 엔딩할 때를 제외하고 그 이전에 조사 우주선에는 태우지 맙시다.
- 열액조를 이용해 냉각이 필요할 때는 "일정 온도 초과 센서"를 이용,
미온수기를 써서 가열이 필요할 때는 "일정 온도 미만 센서"를 이용합니다. - 열액조는 무조건 -14도를 냉각시켜 방출하기에 따라서 적당히 일반배관으로 식히기도 해야 올바르게 돌아갑니다.
위 내용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
나중에 자연스레 알게 되니 겁먹지 말고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