먼저 제 생각에 멀티도시는 수도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는 건 좋지 않다고 봅니다.
구도상 초중반에 인접국가와 전쟁이 걸린다면 수도보다는 멀티도시로 쳐들어 올 확률이 높습니다.
그럴 때 생산력이 높은 수도에서 빠르게 병력을 생산해서 멀티도시로 달려가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수도와 인접해 있는 게 당연하게도 방어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지요.
그럼 여기서!
효율충의 입장에서는 각 도시마다 개발할 수 있는 인접타일이 최대 3타일이니
아래와 같이 멀티도시를 펴면 최대 효율을 낼 수가 있습니다.
ㅁㅁㅁ멀티ㅁㅁㅁㅁㅁㅁ수도ㅁㅁㅁㅁㅁㅁ멀티ㅁㅁㅁ
(ㅁ은 타일입니다;)
그러나! 플레이하시다 보면 1개의 멀티까지는 이런 식으로 가능하더라도
멀티가 2~3개 늘어날수록 이렇게 딱 맞춰 수도와 6 타일씩 거리 두기를 시전 할 수는 없다는 걸 알게 되실 겁니다. ㅎㅎ
고로 이 부분에 있어서는 수도와 5타일 거리나 4타일 정도까지는 괜찮다고 봅니다.
정 펼 땅이 없다면 3타일... ㅁㅁㅁ멀티ㅁㅁㅁ수도 이런 식으로 하셔도 되나 효율충의 입장에서 용서가 안 되는 배치네요...
무튼, 각설하고 글 이어가겠습니다.
다음은 멀티도시에서 생산 우선순위입니다.
저 같은 경우 과학승리를 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먼저 멀티를 안정화시키는데요.
곡창 -> 도서관 -> 물레방아 -> 이후 과학건물위주 먼저 찍고 유동적으로
여기서 몇 가지 팁은
- 멀티도시는 수도포함 3~4 시티면 과학승리에 적당합니다.
정책으로 전통을 선택해서 전통 5가지를 모두 찍을 시 최대 4 시티까지 송수로가 무료로 건설되기 때문이죠. - 그리고 적어도 멀티도시 하나는 해안옆 도시인게 좋습니다.
바다를 통한 정찰과 육로교역보다 해상교역이 가져다주는 이득이 크기 때문입니다.
'게임 공략 > 문명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문명5 신난이도 과학승리 공략> 6. 이념 (0) | 2025.03.09 |
---|---|
<문명5 신난이도 과학승리 공략> 5. 정책 (0) | 2025.03.09 |
<문명5 신난이도 과학승리 공략> 3. 생산 (0) | 2025.03.09 |
<문명5 신난이도 과학승리 공략> 2. 연구 순서 (0) | 2025.03.09 |
<문명5 신난이도 과학승리 공략> 1. 설정과 스타팅 고르기 (0) | 2025.03.09 |